로봇 푸드테크 기업 로보아르테는 대한민국 서울에 R&D 센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R&D 센터에 위치한 로봇 시스템 설계팀은 로보틱스를 활용해 사람과 로봇이 함께 협업하는 조리 시스템을 전문으로 구축합니다.
로봇 시스템 설계팀은 식음료(F&B) 현장에서 사람이 하기 힘든 일 또는 번거로운 일을 대신해 줄 로봇 시스템을 통해 전 세계에 배포된 조리 로봇 프로세스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튀김 조리를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일정한 품질로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로보아르테는 자체 치킨 브랜드 롸버트치킨 플래그십 스토어를 미국 뉴욕 맨해튼에 오픈해 200평의 대규모 매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곳에는 세계 최초 미국 위생협회(NSF·National Sanitation Foundation) 인증 협동 로봇 레인보우로보틱스 RB-N 시리즈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또한 로보아르테의 조리 로봇 시스템도 NSF 위생 안전 인증을 획득해 매장에 운용되고 있습니다. 이 매장은 “메이드 인 코리아” 기술력이 반영된 혁신적인 푸드테크 사례입니다. 현재 롸버트치킨 뉴욕점에는 튀김 조리 로봇 3대가 시간당 최대 150마리의 한국식 치킨을 조리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수작업으로 진행했던 치킨 조리 과정을 자동화 합니다
로보아르테는 2020년부터 Robotic Kitchen을 기획하면서 이전에는 수작업으로 수행했던 반죽된 닭고기를 튀김기로 이동하고 175도의 고온 기름에서 닭을 튀기는 조리 과정을 자동화하는 동시에 작업자가 작업 영역에 장애물 없이 접근할 수 있는 유연한 로봇 제품을 찾고 있었습니다.
RB-N 시리즈는 자율적으로 협업하며 작동합니다
로보아르테는 한국에 본사를 둔 레인보우로보틱스 SW 지원팀과 함께 RB-N 시리즈를 활용해 해당 치킨 조리 자동화 공정을 위한 유증기, 진동에 적합한 그리퍼 통신과 로봇 자가진동제어를 개발했습니다. 반죽된 닭고기를 튀기고, 튀김기에서 달라붙지 않도록 중간중간 흔들어주고, 다 튀겨진 치킨의 기름을 빼기 위해 흔들어주는 등 치킨 튀기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로봇의 임무는 이 뿐만 이 아닙니다. 로봇은 전자동 튀김 조리에도 사용됩니다. 생닭을 투입하면 반죽, 튀김, 양념의 모든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합니다. 이에 치킨은 로봇이, 서비스는 사람이 작업을 수행해 인력을 최소화하면서도 높은 품질의 조리가 가능합니다.
또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하게 협동 로봇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협동로봇은 NSF 인증을 받아 상업용 조리 공간에서의 위생 안전성을 확보하였고, 위생 커버를 씌우거나 부가적인 장치를 하지 않고 로봇 팔 단일제품으로 사용 가능해 위생 관리가 용이합니다.
뉴욕 매장 오픈을 위해 상권을 분석하면서 인력 고용과 팁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치킨 조리 자동화 공정이 현지 시장에서 유효할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인간과 로봇의 협업을 위해 기존의 매장 운영 경험을 기반으로 주방 작업 동선, 주방 환경, 청소 등의 관리까지 고려하여 설계를 진행했습니다. 이에 로봇은 주문이 몰려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일정한 품질의 치킨을 안정적으로 제공하여 고객만족도까지 높일 수 있습니다.
협동 로봇 공학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합니다
로보아르테에서 사용하는 RB-N 시리즈는 인체 무해성과 현장의 요구사항에 맞춘 높은 내구성으로 사람과 로봇 간의 협업에 이상적입니다. 또한 6축 협동 로봇 동급 모델 대비 가장 높은 IP66 등급의 방진 방수 기능을 제공하고 고온의 기름과 고압 스팀, 유증기 등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작업자의 안전은 협동 로봇을 사용하는 큰 이유 중 하나입니다. RB-N 시리즈 협동 로봇은 외력에 의한 충돌감지, 로봇팔 진동 감지, 자가 충돌방지시스템 등 여러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와 작업 환경 그리고 로봇의 안전을 보장합니다.
이러한 사례는 협동 로봇 자동화와 작업자의 안전이 상호 배타적인 것이 아님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가 개발한 협동 로봇은 글로벌 인증기관 TÜV SÜD를 통해 안전성과 내구성을 입증받았습니다. 또한 기능 안전 로봇 인증(Functional Safety)을 획득하였습니다.
“롸버트치킨 전 매장에는 사람 대신 협동 로봇이 치킨을 튀기는 조리 자동화가 구현되어 있습니다.
또한 안전 레이저 스캐너를 활용해 종업원의 안전을 보장하고, AI 기반 조리 최적화로 최고의 맛을 보장합니다.
최근 인건비 상승과 인력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많은 치킨 운영 점주와 운영 본사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성공적이고 효율적인 솔루션
그 결과, 북미 시장 진출에는 NSF 인증 협동 로봇만이 가능하다는 점과 추가적인 프로그래밍 작업을 요하지 않고, 추가 비용 없이 다양한 내장 기능을 제공하는 레인보우로보틱스 F&B 전용 협동 로봇인 RB-N 시리즈를 사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에 롸버트치킨 뉴욕점 오픈 프로젝트의 미국법인 이수경(Su Kyung Lee) 관리자는 다음과 같이 덧붙였습니다. “국내 롸버트치킨 필드 개발팀 경력을 가지고 있는 구성원들이 이미 RB-N 시리즈를 사용한 경험이 있어 해당 제품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습니다. 우리는 이 로봇을 한국의 설치 사례와 같이, 매장 환경에 적합한 튀김 로봇 자동화 시스템을 사용하길 원했습니다. 이미 NSF 인증을 취득한 로봇 팔을 활용해 빠르게 로봇을 설치 및 운용할 수 있었고 사용자 친화적인 순정 기능을 활용해 편리하게 로봇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뉴욕점 오픈 프로젝트에서 레인보우로보틱스 NSF 인증 제품 사용은 매우 성공적이고 효율적이었습니다.”
The following ar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Guidelines set by Rainbow Robotics (hereinafter “company”) to protect data providers’ personal information and seamlessly, promptly deal with relevant complaints or problems pe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rticle 30.
Article 1 (Purpose of using personal information)The company uses personal information for the following purposes and shall not use personal information retained by the company for a purpose other than what is specified as follows. Where there is a change in the purpose of how personal information is used, the company will take relevant measures such as obtaining data providers’ separate consent pe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rticle 18. .
Items to retain | Basis of operation | Period for keeping/using |
---|---|---|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to membership subscription & management | Data subject’s consent | 3 years |
Information on users asking for access to personal information, etc. |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rticles 35 through 39 | 3 years |
Inquiry-related personal information | Data subject’s consent | 1 year |
Records about visits for services |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 1 year |
The company shall take the following measures to secure the safety of personal information retained by the company:
Name: Lee Jeong-ho (President)
▶ Department in charg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Department: Marketing Team
Employee in charge: Kim Yourim
☎: +82-42-719-8104, Fax: +82-42-719-8071, Email: yr.kim@rainbow-robotics.com
Data subjects may contact the following department or employee to ask for access to their personal information retained by the company pe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rticle 35. Accordingly, the company will do our utmost to process such a request promptly.
► Department in charge of access to personal information
Department : Marketing Team
Employee in charge: Kim Yourim
☎: +82-42-719-8104, Fax: +82-42-719-8071, Email: yr.kim@rainbow-robotics.com
To get redress concerning infringement of their personal information, data providers may contact The "Personal Information Dispute Mediation Committee" (“PIDMC” or “Pico") or the Korea Computer Emergency Response Team Coordination Center (KrCERT/CC). They may also contact the following agencies to report their incident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or relevant consultation.
A person who has had his right or interest infringed due to an act or omission performed by the head of a public institution concerning his request made unde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rticle 35 (Access to Personal Information), Article 36 (Rectification or Erasur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Article 37 (Suspension of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may ask for administrative adjudication Under the Administrative Appeals Act.
※ For details concerning administrative adjudication, please visit the homepage of the Central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www.simpan.go.kr).
Article 13 (Change i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Guidelines)The Terms and Conditions shall apply to matters concerning notices given, provision of service, search, loss compensation and indemnity concerning the use of “User Space”-related service provided by Rainbow Robotics (hereinafter “the company”).
Article 1 (Purpose)The purpose of the Terms and Conditions is to stipulate our rights,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and those of users of the online service provided by User Space (“SERVICE”).
Article 2 (Definitions)